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커뮤니케이션
- 하루북
- 네이버통장
- 시선으로부터
- 케이크
- 넷플릭스
- 빛투
- 시리즈온
- 필라테스
- 북트니스
- SSAG3
- 카카오뱅크
- 로스팅
- 스트레스컴퍼니
- 코로나19
- 편집책
- 감정카드
- 벚꽃
- 매일읽는긍정의한줄
- 한강
- 여니스트
- 책근육
- qr뉴따릉이
- 온라인독서보임
- 자동차운전면허증갱신 #자동차운전면허갱신 #운전면허증갱신
- 이태원클럽
- 011페지
- 대학로거리공연축제
- 몸으로읽는책
- 설민석의삼국지
- Today
- Total
목록컨텐츠글쓰기 (124)
꿈꾸는 세상
07. 워라밸의 갈망 학업과 일과 여가의 중간점 yolo( you only live once , 한번뿐인 삶이니 최대한 즐기면서 살자), hygge(덴마크 어로 안락함, 소박한 삶) 라는 말을 들어 보았을 것이다.새로운 인생, 도전적인 삶, 즐기는 삶을 살아보고 싶은 욕망도 있고 기존의 삶이 힘들어서 잠시 쉬어가자는 의미도 있다. 그대의 인생은 안녕하신가요? 늦은 나이에 야간대학원을 다니고 있다. 교육 관련 일을 하려다 보니 자연스레 학업을 더 이어 나가야 겠다는 생각을 했다.1년의 시간이 지났고 일과 학업을 병행하면서 얻은 깨달음이 있다.1+ 1 = 2 가 아닌 - 가 될수 있다는 사실을 ...너무 비관적으로 이야기 한다고 생각하지 않길 바란다. 더 열심히 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나는 힘들었다 ㅠ.ㅠ일과..
06. 경제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을까 이상과 현실의 괴로움 이상과 현실사이에서 나를 비롯한 많은 사람들이 고민을 한다. 조금 더 솔직하게 이야기 하면돈이 되는 일을 하며 나름 안주하고 사느냐 아니면 돈에 억매이지 않고 원하는 일, 하고싶은 일을 하며 사느냐로 볼 수도 있다. 비약적으로 이야기를 적었지만원하는 일을 하며 사는 것이 돈과는 많이 떨어질 수 있다는 이야기다.반대로 원하는 일을 하며 경제적 부를 이루는 사람들도 많다. 하지만 이는 보통 사람들의 이야기는 아니다. 인생학교. 시간 정신 돈 세상 일 섹스 인생학교. 알랭드보통의 영국의 인생학교 소속 사람들이 각 주제를 맡아 작성한 책이다. 인생학교는 삶의 교과서를 다룬다. 보통의 학교에서 가르쳐 주지 않는 지식을 전파한다. 이 책 이야기를 꺼낸 이유..
05. 프로젝트의 실천적 과제 실천을 통한 나의 깨달음 회사 업무가 아닌 곳에서 프로젝트를 시작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다들 각자의 개인 사정들이 있고 추구하는 목적도 다르기에 여러 장애 요인들이 따른다. 무언가 해보고 싶다라는 막연한 것을 구체화 했던 경험이 지금 현재 위치의 내가 존재하였기에 그 이야기를 전하고자 한다. 첫시작은 서비스 툴킷 제작이었다. 오픈컬리지 커뮤니티에서 소셜벤처랩(SVL)에 참여하게 된게 계기가 되었다. 지금은 과정이 없어졌지만 1년에 2차례씩 사회적활동 프로젝트를 만들어 볼수 있는 프로그램이 커뮤니티에 있었다. 원하는 일을 찾아 할수 있을까? 직업에서 일을 하는 목적이 뚜렷하지 않는 상황에서 단순한 물음으로 시작했다. 직장인들끼리 꿈, 비전 멘토링 매칭으로 서로 직업 정보를..
04. 적는 삶의 의미삶의 기록과 관찰, 반성 적는다라는 것은다른 사람의 말을 잊어버리지 않기 위해 기록하는 경우와 나의 생각을 정리하기 위해 적는다.또는 SNS가 확산되며 정보를 공유하는 목적으로 적기도 한다. 영화 1987 에 나온 대사중기자들이 나누는 대화중에 "받아쓰기나 잘해" 라는 대사가 기억에 남는다. 보도기사를 정부의 권력 앞에 입맛에 맞춰 대변하듯 썻던 기자들이남영동 박종철, 이한열 열사 사건에서 더이상 받아쓰기가 아닌 진실을 파헤치는 글을 썻다 나에게 적는다는 것은 진실을 이야기하는 것처럼거창하게 시작하지는 않았다. 일기가 처음 이었던 거 같고그때는 일상 사건의 기록 이었다. 학교는 그냥 받아적기였다. 숙제를 위한 , 시험을 잘보기 위한 회사를 다니기 시작하면서 적는 일이 많아졌는데 주로..